반응형
목차
1. 개요
- 2025년 최저임금이 10,030원으로 인상됨에 따라, 자신의 월급이 최저임금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하지만 직접 계산하는 것은 번거로울 수 있기 때문에, 온라인 최저임금 계산기를 활용하면 쉽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.
- 이번 글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최저임금 계산기 5가지를 추천하고, 간단하게 최저임금을 계산하는 방법도 소개하겠습니다.
2. 최저임금 계산기 추천
2.1. 고용노동부 최저임금 모의계산기
- 공식 기관인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최저임금 계산기입니다.
- 근로시간, 기본급, 상여금, 수당 등을 입력하면 최저임금 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👉 바로가기
2.2. 알바천국 급여계산기
- 아르바이트생을 위한 간편 급여 계산기입니다.
- 시급, 근무 시간, 주휴수당, 세금 등을 고려하여 실제 받을 수 있는 급여를 계산해 줍니다.
- 👉 바로가기
2.3. 알바몬 급여계산기
- 아르바이트뿐만 아니라 정규직, 계약직 근로자도 사용할 수 있는 급여 계산기입니다.
- 시급, 근무 일수, 주휴수당, 세금 등을 입력하여 월급 및 연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- 👉 바로가기
2.4. 노동OK 최저임금 계산기
- 최저임금 적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계산기로, 시간급, 일급, 월급 등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- 4대 보험료와 세금 공제 전/후 금액도 확인할 수 있어 실수령액 계산에 유용합니다.
- 👉 바로가기
2.5. 시프티 주휴수당 계산기
- 주휴수당을 쉽게 계산할 수 있는 도구로, 1주일 동안의 총 근로시간과 시급을 입력하면 주휴수당이 자동 계산됩니다.
- 정확한 주휴수당을 알고 싶은 아르바이트생이나 근로자에게 추천합니다.
- 👉 바로가기
3. 최저임금 쉽게 계산하는 방법
- 최저임금은 기본적으로 시급 × 근무시간으로 계산됩니다.
- 하지만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209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.
💡 최저임금 월급 계산법
- 시급(10,030원) × 월 근로시간(209시간) = 2,096,270원 (세전)
- 연봉(세전) = 2,096,270원 × 12개월 = 25,155,240원
💡 주휴수당 계산법
-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음
- (주 근로시간 ÷ 40시간) × 8시간 × 시급(10,030원)
- 주 40시간 근무 시 주휴수당: 80,240원 추가 지급
✅ 정확한 금액을 알고 싶다면 위의 최저임금 계산기를 활용하세요!
4. 자주 묻는 질문
Q1. 아르바이트생도 최저임금 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나요?
- ✅ 네, 모든 근로자가 사용 가능합니다. 특히 알바천국, 알바몬 계산기는 아르바이트생에게 최적화되어 있습니다.
Q2. 세후 실수령액도 계산할 수 있나요?
- ✅ 노동OK, 알바천국, 알바몬 계산기에서는 세금 및 4대 보험 공제 후 금액까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.
Q3. 주휴수당은 어디에서 계산할 수 있나요?
- ✅ 시프티 주휴수당 계산기를 이용하면 쉽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.
Q4. 최저임금 계산기가 무료인가요?
- ✅ 네, 모든 계산기는 무료로 제공됩니다.
반응형
'최저임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최근 10년간 최저임금 인상률 변화: 한눈에 살펴보기 (0) | 2025.03.03 |
---|---|
최저임금과 실업률, 정말 연관이 있을까? (0) | 2025.03.03 |
최저임금 적용 대상과 제외 업종 (0) | 2025.03.03 |
2025년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계산법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3.03 |
2025년 최저임금 연봉 및 실수령액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3.03 |